본문 바로가기
해외주식

AI회복, 구글과 메타 이벤트가 반등 촉발 가능

by 자산 지키미 2025. 4. 2.
반응형

25년 들어 인공지능(AI)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부진한 가운데, 향후 몇 달간 AI 분야의 낙관론을 되살릴 수 있는 주요 이벤트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가장 주목되는 두 이벤트는 각각 4월 9~11일과 4월 29일 열리는 알파벳(GOOGL)의 <클라우드 넥스트>와 메타 플랫폼(META)의 <라마콘>입니다.   

 

 

 

알파벳(GOOGL)의 경우 최근 발표한 클라우드 보안업체 위즈 인수 건을 중점적으로 다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위즈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어떻게 통합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기업 고객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 AI 활용 사례나 통합 기술도 공유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멜리우스 리서치는 알파벳이 AI를 검색 서비스에 더 효과적으로 통합하지 못한다면, 차세대 검색 사용자들을 챗GPT와 같은 AI 기반 대안 서비스에 빼앗길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재까지 구글의 광고사업이 타격을 입었다는 명확한 데이터는 없지만, 이런 데이터는 순식간에 반전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구글은 검색 상단에 노출하는 AI 요약 기능은 단순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오픈AI가 제시한 기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26년 말까지 구글의 광고 매출에 타격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메타(META)는 개발자 중심의 행사인 라마콘에서 라마 계열 모델에 대한 업데이트와 새로운 AI 기능들을 소개할 것입니다. 라마 4의 공개 여부, 새로운 에이전트 추론 기능, 메타 AI 도입 현황, 향후 제품 로드맵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메타 플랫폼스(META)의 인공지능(AI) 리서치 핵심 인재인 조엘 파이노가 사임을 발표했습니다. 파이노의 사임은 메타의 어려운 시기에 이루어졌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오픈AI 및 구글과 같은 경쟁사에 앞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AI 경쟁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된 행사 외에도 수개월 내 다양한 AI 관련 촉매제가 예정돼 있으며, 그중 가장 주목받는 것은 오픈AI의 GPT-5 출시입니다. GPT-5는 연산 능력, 기억력, 멀티모달 기능 등에서 최신 기술을 탑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혁신의 선두주자로, 이번 모델은 업계 전반에 걸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입니다. GPT-5는 올해 중후반 출시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퍼플렉시티도 최근 여행 특화 기능을 도입해 사용자들이 호텔 예약을 직접 플랫폼 내에서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행은 AI의 대표적 실사용 사례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수익화 및 사용자 참여 확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아마존(AMZN) 역시 여러 AI 관련 출시를 준비 중입니다. 대표적으로 Alexa+ 서비스 론칭, 헬스케어 AI 서비스(연말 하반기 예정), 클라우드 행사 리:인벤트(12월 1주차 예정) 등이 주요 이슈입니다.

 

아마존(AMZN)이 자사 전자상거래 플랫폼 전반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적극 도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쇼핑 어시스턴트와 건강 관련 챗봇을 시험 운영 중입니다. 아마존은 소매, 클라우드 컴퓨팅, 디바이스, 헬스케어 등 주요 사업 전반에 걸쳐 AI를 핵심 투자 분야로 삼고 있습니다.

 

소매 부문에서는 이미 쇼핑 챗봇, 판매자용 AI 도우미, AI 기반 쇼핑 가이드 등을 출시한 바 있습니다. 신규 기능 중 하나인 ‘관심사 AI’는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사를 자유롭게 입력하면, 이를 기반으로 제품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기능은 기존 검색창과는 별도로 제공되며, 더욱 자연스러운 대화형 검색이 가능합니다.   

 

AI를 헬스케어 분야에도 적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웹사이트와 앱에서 테스트 중인 ‘건강 AI’는 건강과 웰빙 관련 질문에 답변하고, 일반적인 치료 온션과 관련 제품을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들 AI 어시스턴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확보하고, 10년 넘게 운영 중인 디지털 어시스턴트 알렉사의 전면 개편에도 활용할 방침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