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주식

라스베이거스 샌즈(LVS) 싱가포르 리조트 호조

by 자산 지키미 2025. 2. 2.
반응형

회사소개

라스베이거스 샌즈는 자회사와 함께 마카오와 싱가포르에서 복합 리조트를 개발, 소유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 마카오에 베네시안 마카오 리조트 호텔, 더 런던너 마카오, 파리지앵 마카오, 더 플라자 마카오, 포시즌스 호텔 마카오, 코타이 스트립, 샌즈 마카오를 소유 및 운영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에 마리나 베이 샌즈를 소유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의 통합 리조트에는 숙박시설, 게임, 엔터테인먼트 및 리테일 몰, 컨벤션 및 전시 시설, 유명 셰프 레스토랑 및 기타 편의시설이 있습니다. 라스베이거스 샌즈는 1988년에 설립되었으며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투자 & 재무정보

라스베이거스 샌즈 투자정보

①Market : USA NYSE

②Industry : Hotels & Entertainment Services

③Sector : Consumer Cyclicals

④배당 : 분기별 0.20 $

⑤동종산업 : 주가수익비율 27.21, 주식순자산비율 -10.39

 

Latest News & Valuation

1) 라스베이거스 샌즈는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 29억 달러(YoY -0.7%)를 기록했고, 컨센서스를 0.5억 달러 상회했습니다. 비GAAP EPS 0.54달러(YoY -0.5%)를 기록했고, 컨센서스를 0.04달러 하회했습니다. 카지노 매출은 21억 달러(YoY -0.4%), 객실숙박 매출은 3.2억 달러(YoY -1.8%)를 기록했습니다. 부동산 조정 EBITDA는 11.1억 달러로 컨센서스에 부합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습니다. 마카오의 경우에는 5.7억 달러로 EBITDA가 0.8억 달러 감소했고, 싱가포르의 경우 5.4억 달러로 0.1억 달러 감소하는 데 그쳤습니다. 경영진은 마카오 시장 회복세를 언급했지만, 여전히 판데믹 이전의 방문객 수준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싱가포르의 Marina Bay Sands 리조트는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고 평가했으며, 효과적인 자본지출 전략을 통해 두 시장 모두에서 카지노 산업을 선도하는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2) 모간스탠리는 라스베이거스 샌즈의 실적 컨센서스가 높은 편이므로 투자매력이 떨어진다고 정리했습니다. 라스베이거스 샌즈에 대한 컨센서스는 이미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카지노 산업의 성장세, 특히 마카오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 전망이 이미 동사 주가와 컨센서스에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마카오 부문의 실적 기여를 컨센서스 보다 낮게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주가는 매력적이지 않습니다. 중국 경제는 디플레이션신호가 나타나고 있고 부동산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으며, 여기에 미국과의 무역마찰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마카오 카지노 산업은 시장이 기대하는 것보다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25년 및 26년 실적 전망치 기준, 라스베이거스 샌즈의 EV/EBITDA 주가배수는 여전히 11.5배 및 10.5배 정도로, 판데믹 이전 13.5배를 하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실적 컨센서스에 리스크가 있다는 점은 인식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시장비중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3) 제프리스는 마카오 시장을 조사했을 때 라스베이거스 샌즈의 성장 펀더멘털을 낙관할 수 있다고 발언했습니다. 마카오 카지노 시장의 전반적인 영업 여건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라스베이거스 샌즈 또한 성장 펀더멘털이 개선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라스베이거스 샌즈의 익스포저가 큰 일반인 고객 사업의 성장세가 기대되며, 이는 동사의 단기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라스베이거스 샌즈가 카지노 설비들의 개량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장기적인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배경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26년에는 라스베이거스 샌즈의 마카오 카지노 시장 점유율이 19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라스베이거스 샌즈는 동종기업 대비 우수한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자사주 매입에 나서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60달러에서 69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