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주식

엔비디아(NVDA) 94% 증가한 매출에 대한 해석

by 자산 지키미 2024. 11. 21.
728x90

회사소개

NVIDIA Corporation은 전 세계에 그래픽, 컴퓨팅 및 네트워킹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래픽 부문에서는 게임 및 PC용 GeForce GPU, GeForce NOW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및 관련 인프라, 게임 플랫폼용 솔루션, 엔터프라이즈 워크스테이션 그래픽용 Quadro/NVIDIA RTX GPU, 클라우드 기반 비주얼 및 가상 컴퓨팅용 가상 GPU 또는 vGPU 소프트웨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용 자동차 플랫폼, 메타버스 및 3D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운영을 위한 Omniverse 소프트웨어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컴퓨팅 및 네트워킹 부문은 데이터센터 컴퓨팅 플랫폼과 인피니밴드용 퀀텀 및 이더넷용 스펙트럼을 포함한 엔드투엔드 네트워킹 플랫폼, 엔비디아 드라이브 자율주행 플랫폼 및 자동차 개발 계약, 젯슨 로봇 및 기타 임베디드 플랫폼,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 및 기타 소프트웨어, DGX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품은 게임, 전문 시각화, 데이터 센터 및 자동차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업체, 오리지널 장치 제조업체, 시스템 통합업체 및 유통업체, 독립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소비자 인터넷 기업, 애드인 보드 제조업체, 유통업체, 자동차 제조업체 및 1차 자동차 공급업체, 기타 에코시스템 참여업체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NVIDIA Corporation은 1993년에 설립되었으며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투자 & 재무정보

엔비디아 투자정보

Market : USA NASDAQ

Industry : Semiconductors & Semiconductor Equipment

Sector : Technology

 

배당 : 분기별 0.01 $

동종산업 : 주가수익비율 67.98,  주식순자산비율 33.49

 

엔비디아 손익계산서

 

엔비디아 대차대조표

 

Latest News & Valuation

엔비디아(NVDA)는 FY25 3분기(8~10월) 영업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 350.8억 달러(YoY+94%)를 기록했고, 컨센서스를 19.2억 달러 상회했습니다. EPS 0.81달러(YoY+103%)를 기록했고, 컨센서스를 0.06달러 상회했습니다. ▲데이터 센터 308억 달러(YoY+112%, vs 컨센서스 288.2억 달러) ▲게이밍 및 AI PC 33억 달러(YoY+15%, vs 컨센서스 32.8억 달러) ▲전문 시각화 4.86억 달러(YoY+17%) ▲자동차 및 로보틱스 4.49억 달러(YoY+72%). FY25 4분기 가이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 375억 달러(VS 컨센서스 370.8억 달러). 엔비디아 CFO는 호퍼 및 블랙웰 시스템 공급 차질이 있음이 분명하며, 블랙웰 수요는 FY26 여러 분기 동안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습니다. 한편 CNBC는 엔비디아 매출이 전년동기 기준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3개 분기 동안 매출 증가율이 FY24 4분기 +265%, FY25 1분기 +262%, FY25 2분기 +122%를 기록한 것과 대비해, FY25 3분기 매출 증가율은 둔화됐다고 분석했습니다.

 

MarketWatch는 엔비디아의 실적발표 이후 주가 하락을 설명하면서, 이익률 희석이 실망감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엔비디아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하락했습니다. 매출총이익률이 다소 하락했던 점이 그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연초 동사 주가가 연초 대비 200% 이상 상승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강력한 실적성장세를 재확인하기를 기대했으며 약간의 실망도 주가에 하방압력을 가하기에 충분했다고 보았습니다. 이에 대해 Susquehanna는 Blackwell 제품 중심으로 생산라인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익률 희석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Third Bridge는 엔비디아가 Blackwell 제품 단가를 어느 정도 낮게 책정한 것이 이익률에 압박을 가했을 수 있습니다. 성능이 더 우수하고 생산복잡도도 높은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는데 이익률이 하락했다는 것은, 엔비디아가 경쟁위협을 떨쳐내기 위해 가격 정책에도 신경쓰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습니다. 경영진이 제시한 FY25 1분기(11월~25년 1월) 매출 가이던스가 375억 달러로, 컨센서스 390억~410억 달러를 하회한 점도 주가 하락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매출 전망 실망도 Blackwell 제품 중심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의 영향일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이익률이 충분히 높기 때문에, 실적발표 이후 주가 하락이 과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FY25 3분기(8~10월) 실적발표에서는 이익률이 다소 하락했고 이것이 실적발표 이후 주가 하락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영진은 Blackwell 제품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이익률도 회복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CFO는 향후 수 분기에 걸쳐 이익률이 회복될 것이라는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컨퍼런스 콜에서 25년 하반기 내로 매출총이익률이 70% 중반대로 회복될 수 있을지 질의가 이루어졌는데, 이에 대해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어 엔비디아는 70% 이상의 매출총이익률을 누리고 있음에도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러한 이익률을 생각조차 할 수 없다고 발언했으며, 매출총이익률 70%대가 붕괴될 것이라는 신호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엔비디아는 앞으로도 수 년 동안 주주들에게 막대한 이익을 제공할 것입니다. 현시점에서 엔비디아 투자전략에서 취약점을 찾기는 어렵다고 발언했습니다.

 

 

728x90